본문 바로가기 보조메뉴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바로가기

상담문의

기업취재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프린트

칼럼-50+에 대한 짧은 생각

고객 소리함 게시판 읽기
작성일 2017-09-19 조회 1511
첨부

50+에 대한 짧은 생각


우리나라에서는 연령을 기준으로 만 65세 이상을 노인이라고 한다. 65세 이상이라는 기준은 1956년 세계보건기구(WHO) 발표에 따른 것으로 세계 공통이다. 따라서 ‘65플러스’ 혹은 ‘65+’라는 표현은 ‘노인에 관한 어떤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004년 고령화사회 취재차 네덜란드 덴마크 스웨덴 등 북유럽 3국을 방문했을 때 현지 고령자취업센터의 명칭에 흔히 들어있던 것이 ‘65+’였다. 네덜란드의 경우 1975년 설립한 노인전문 취업알선단체 ‘65+’가 전국에 지사를 두고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었는데 정부는 물론 각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우리나라는 노인 외에 고령자와 준고령자라는 명칭도 사용하고 있다. 고령자는 만 55세 이상, 준고령자는 만 50세 이상의 연령층을 각각 가리킨다. 따라서 50+는 ‘준고령자 이상의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어떤 것’인 셈이다.
여기서 의문이 생긴다. 왜 70+, 75+가 아니라 50+인가. 우리나라는 고령사회를 넘어 초고령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평균수명 80세를 지나 100세 시대로 숨가쁘게 달려가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의 연령기준을 현재의 65세에서 70세나 75세로 상향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심지어 대한노인회는 2015년 5월 정부에 대해 노인 기준 연령의 상향 조정을 공론화해달라고 요청하기까지 했다. 연령이 상향조정될 경우 연금을 받는 시기가 늦춰지거나, 당장 도시철도 무임승차 연령이 상향조정될 수 있는 등 자신들의 존립 근거인 노인층에 불이익이 초래될 수 있는 상황인데도 말이다. 일본노년학회 역시 올해 초 노인 기준연령을 현재의 65세에서 75세로 한꺼번에 10세나 올리자고 제안한 바 있다. 65+가 이제는 현실에 맞지 않다는 뜻이다.
그런 추세에서 본다면 50+는 시대 흐름을 거스르는 일이다. 65+라는 표현과 달리 50+는 우리보다 앞서 고령화 사회로 나아간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보기드문 현상이다.

미국의 경우 일부 대학이나 커뮤니티 칼리지(자체 학생들 뿐 아니라 지역 주민에게도 수강을 허용하는 교육 기관)에 50+과정이 개설돼 있는데 평생교육의 개념에 가깝다. 우리와 사회적 환경이 비슷한 일본의 경우에도 50+라는 표현은 일본의 철도인 신칸센 JR동해선이 50세 이상 회원 고객을 상대로 한 일종의 할인서비스를 실시하는 경우나, 5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비타민 등 건강보조식품의 판매 문구 등에서만 극히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JR동해선50+’의 경우 50세 이상으로 회원 가입을 해야 하는 데다, 회원이 되면 신칸센 열차표를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JR동해선의 각종 여행상품에 할인된 가격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뜻이어서 우리가 사용하는 보편적 의미의 50+와는 거리가 있다. 
그런데 우리는 50+가 65+의 연장 개념이나 확장 개념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분위기다. 50+가 일반 시민들에게 공식적으로 선을 보인 것은 지난해 4월 서울시 산하기관으로 설립된 서울시 50플러스재단(50plus.seoul.go.kr)이다. 이어 10월에 부산광역시 장노년 일자리지원센터(www.busan50plus.or.kr)가 출범했고, 올들어서는 이달에 '50플러스 충남'이 문을 열었다. 이 추세라면 16개 시도에 모두 50+ 전용시설이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부산광역시장노년일자리지원센터(부산50플러스)의 홈페이지 초기 화면.


50+는 엄격히 말하자면 65+와 구분된다. 50+는 대상 연령층이 50~64세다. 서울50플러스재단도 홈페이지에서 50+는 베이미부머나 신노년으로 불리는 만 50~64세의 중장년층를 위한 종합지원기관이라고 밝히고 있다. 부산50+는 부산에 주민등록을 둔 만 50세 이상의 건강하고 활력 있는 장노년 세대의 사회참여를 지원하고 있다고 밝혀 50+에 65+를 아우르는 듯한 인상을 준다.
어쨌든 50+는 고령화시대의 전반적 연령 상향추세에 역행하고 있지만 나름의 공적도 적지 않다. 무엇보다  65세 이상 노인에 맞춰졌던 고령자복지의 초점을 50세 이상으로까지 확대시켰다는데 의미가 있다. 50+세대는 은퇴를 전후한 연령층으로 사회적 위상과 가치관이 흔들리고, 경제적으로도 풍요에서 곤궁으로 전환하는 시기다. 복지서비스와 사회적 관심이 어느 연령층보다 절실하지만 상대적으로 소외돼 왔다. ‘낀 세대’라는 표현 그대로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이 25∼27일 개최하는 '서울 50+ 국제포럼 2017'의

                          포스터. 인생 2모작 설계를 위한 국내외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다.
 
한국사회에서 연령적으로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와 거의 겹치는 50+세대의 전면적 부상은 상징하는 바가 적지 않다. 50+세대는 인류 최초로 100세 시대를 살게 될 첫 번째 세대다. 살아온 50년, 살아갈 50년의 첫 세대인 것이다. 이들의 노후 연착륙이 곧 100세 시대 연착륙의 바로미터가 된다. 베이비부머는 말 그대로 출산의 붐 속에 인구의 폭발적 증가가 시작된 세대다. 현재의 노인세대만으로도 복지예산이 부족한 현실에서 50+세대가 본격적으로 노인복지 수요층으로 편입되면 사회복지, 노인복지의 패러다임을 바꾸어야 한다. 
50+는 한국적 특수상황이다. 50+세대는 상당수가 60세 정년 연장법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50대 초중반에 직장을 은퇴했다. 거기에 그들의 아들세대는 청년 취업난에 시달리고 있다. 가계비에서 자녀의 대학 학자금이나 취업 준비, 결혼 자금까지 여전히 그들의 몫이다. 50+ 시설에 시선이 쏠리는 이유다. 
 김찬석 기자 chan3572@naver.com   

댓글

  • 작성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 타인을 비방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글의 게시를 삼가주세요.